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158

생활 속 재미있는 한자어 11(狙擊, 反芻, 秋毫) 동물의 행동과 관련된 재미있는 한자어 저격(狙擊) : 狙 원숭이 저 擊 칠 격 - 어떤 대상을 겨냥하여 쏨 반추(反芻) : 反 돌이킬 반 芻 꼴(말이나 소에게 먹이는 풀) 추 - 어떤 일을 되풀이하여 음미하거나 생각하는 일 추호(秋毫) : 秋 가을 추 毫 터럭 호 - 가을철에 새로 돋아난 작고 가는 털, 조금, 매우 적음 저격(狙擊) '저격'은 어떤 대상을 날쌔게 습격하여 쏜다는 말입니다. 그래서 저격수 또는 저격병이란 적을 저격하기 위해 뽑힌 뛰어난 사수(射手: 총포나 활을 잘 쏘는 사람)를 가리킵니다. 저(狙)는 긴팔원숭이는 뜻하는 한자입니다. 긴팔원숭이는 매우 지능적이고 도구를 사용할 줄 아는 동물로 딴청을 피워 상대를 방심하게 만든 뒤 갑자기 먹이를 낚아채 달아난다고 합니다. 그 동작이 매우 빨라.. 2023. 6. 1.
생활 속 재미있는 한자어 10(糟糠之妻) 조강지처(糟糠之妻) 중국 후한 광무제 때 황제의 누이인 호양 공주가 가난했지만 착실하게 살았던 청년, 송홍에게 마음이 있었습니다. 공주는 과부였습니다. 누이의 마음을 안 황제가 송홍의 생각을 떠 보려고 그에게 물었습니다. "세상 사람들이 말하길 사람이 귀하게 되면 친구를 바꾸고 부자가 되면 아내를 바꾼다는데 공은 어찌 생각하는가?" 송홍은 조금도 망설이지 않고 이렇게 말했습니다. "가난하고 천할 때의 친구는 잊을 수가 없고 조강지처는 내칠 수가 없습니다." 貧賤之交不可忘 糟糠之妻不下堂 빈천지교불가망 조강지처불하당 왕은 병풍 뒤에 숨어 송홍의 대답을 기다리던 호양 공주에게 안 되겠다는 뜻으로 고개를 가로저었습니다. 조(糟)와 강(糠) 조강지처라는 말은 위의 이야기에서 유래한 것입니다. 여기서 조(糟)는 술.. 2023. 5. 31.
노자「도덕경」제11장(원문, 독음, 영어버전, 해석, 필사영상) 「도덕경」 제11장 도덕경 11장 역시 "비어 있음의 쓰임새"에 대해 역설적으로 표현하고 있습니다. 노자는 바퀴, 그릇, 집을 예로 들면서, '있음'이 '비어 있음'에 의해 쓸모를 얻는다고 말합니다. 바퀴가 굴러가기 위해서는 바큇살 사이에 빈 공간이 있어야 하고, 그릇이 물건을 담기 위해서는 그릇에 빈 공간이 있어야 하며, 집에 사람이 살기 위해서는 집 안에 빈 공간이 있어야 합니다. 노자는 이러한 예를 통해, 세상의 모든 것은 '있음'과 '비어 있음'이 조화를 이루어야만 쓸모가 있다고 말합니다. 너무 가득 차기만 해도 안되고 너무 비어 있기만 해도 안된다는 것이겠죠. 따라서 우리는 세상을 바라볼 때, '있음'과 '비어 있음'의 조화를 생각해야 합니다. 이는 우리에게 세상을 바라보는 새로운 시각을 제공합.. 2023. 5. 28.
생활 속 재미있는 한자어 9(百, 千, 萬) 숫자한자 百, 千, 萬 百(백), 千(천), 萬(만)은 구체적인 수를 의미하기도 하지만 한자어에서는 '많다'라는 뜻으로 많이 활용됩니다. 백화점(百貨店)은 100가지 물건을 파는 상점이 아니라 온갖 물건을 파는 가게라는 뜻입니다. 백과사전(百科事典)은 문화, 예술 등 온갖 분야의 일을 체계적으로 늘어놓은 책을 말합니다. 백화만발(百花滿發)은 여러 종류의 꽃이 가득 피었다는 뜻입니다. 千(천) 역시 오랜 시간, 먼 거리를 뜻하는 한자입니다. 천리마(千里馬)는 하루에 천리를 갈 수 있을 만큼 빠른 말이라는 뜻입니다. 천추(千秋)는 천 번의 가을이라는 뜻으로 아주 오랜 세월을 의미합니다. 천재일우(千載一遇)는 천년에 한 번 만날까 말까 한 기회라는 뜻입니다. 만년필의 '만'이 '萬'이라는 건 알고 계셨나요? .. 2023. 5. 24.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