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역사이야기17

12.3 계엄 관련 내란옹호, 동조 혐의 제보 방법(ft. 민주파출소, 내란제보센터) 2024년 현재 대한민국의 헌정 사상 최대 위기에 처해 있습니다. 헌정을 유린한 그 수괴가 마땅히 자리에서 내려와 국민 앞에 사죄해야 함에도 불구하고 오히려 자신은 떳떳하다며 어떠한 조사에도 출석요구에도 응하지 않고 있습니다. 심지어 대한민국을 이 위기로 몰고 간 그 수괴를 옹호하며 극우의 행태를 여실히 보이고 있는 자들이 지역 곳곳에 수장으로 앉아 있는 현실입니다. 대한민국 민주주의의 빠른 회복을 위해서는 깨어있는 국민들의 관심이 필요합니다. 지역 곳곳이 내란 동조, 옹호 행위 신고 방법을 알려드리겠습니다. 지역정치인들이 내란 옹호 현수막 등을 해당 지역구에 걸어놓은 경우 반드시 신고하십시오.    내란옹호•동조 행위 신고하기   허위조작댓글 신고하기       목차  내란동조죄  내란동조죄(형법 제9.. 2024. 12. 30.
윤석열 탄핵안 표결에 불참한 국민의힘 의원 명단(ft.甲辰 105賊) 역사에 남을 '12.3사태' 이후 12월 7일 윤석열의 탄핵소추안 의결이 국회 본회의장에서 진행되었습니다. 그러나 국민의힘 의원 105명은 김건희특별법 투표 이후 윤석열 탄핵소추안 표결에는 불참한 채 모두 퇴장하는 비겁한 모습을 보였습니다. 이들은 선거철이면 온갖 아양을 떨며 표를 구걸하며 국민의 심부름꾼, 대리인이 되겠다며 굽신거리더니 정작 진정 일해야하는 상황이 되니 비겁하게 당론을 핑계로 꼬리를 빼고 달아났습니다. 이들은 결코 국민의 대리인으로서 자격이 없는 자들입니다. 이후 계속될 윤석열 탄핵안 표결에 반드시 참여하도록 국민들이 직접 독려해야 하며 변화하는 모습을 보이지 않는다면 절대 국민의 대리인이 되지 못하게 해야 합니다. 을사5적에 버금가는 갑진 105적의 명단을 지역별로 정리해 드리겠습니다.. 2024. 12. 9.
헌종의 즉위와 조선 사회의 위기 헌종 시대는 후기 조선 사회의 붕괴 조짐이 드러난 시기였습니다. 안으로는 순조 대부터 시작된 세도정치로 과거제도 및 국가 재정의 기본인 삼정(三政: 전정, 군정, 환곡)의 문란 등으로 나라가 혼란해졌고 재위 15년 동안 9년에 걸쳐 수재(水災: 장마나 홍수로 인한 재난)가 발생하는 등 민중의 어려움이 계속되었습니다. 내우외환(內憂外患: 나라 안팎의 여러 가지 어려움)이 그치지 않아 어린 나이에 즉위한 헌종으로서는 치세에 많은 어려움을 겪을 수밖에 없었습니다 헌종의 즉위와 순원왕후의 수렴청정헌종은 순조의 손자이며 효명세자와 신정왕후의 아들입니다. 1827년에 창경궁 경춘전에서 태어났고 1830년 순조 30년에 왕세손에 책봉, 1834년 순조가 죽자 8세의 나이로 즉위하였습니다. 그러나 어린 나이를 이유로 .. 2023. 4. 26.
순조와 정순왕후, 그리고 홍경래의 난 순조는 정조의 둘째 아들로 수빈 박 씨의 소생이며 이름은 공입니다. 정조와 의빈 성씨 사이에서 난 문효세자가 일찍 죽자 정조 24년에 왕세자로 책봉되었고 이 해 6월 정도가 승하하자 7월, 11세의 어린 나이로 즉위하였습니다. 그러자 영조의 계비이며 대왕대비인 정순왕후가 수렴청정(垂簾聽政: 임금이 어린 나이로 즉위하였을 때, 왕대비나 대왕대비가 이를 도와 정사를 돌보던 일)하게 되었습니다. 정순왕후의 수렴청정 정순왕후는 사도세자의 죽음에 찬동했던 벽파의 실세 김귀주의 누이로 벽파를 위해서라면 물불을 가리지 않는 인물이었습니다. 권력을 쥔 정순왕후는 친정 6촌 오빠를 이조참판에 앉히고 벽파들을 대거 등용한 한편 정조의 탕평을 보좌했던 인물들은 축출하여 벽파 정권을 수립합니다. 그리고 왕의 즉위를 공포(公布.. 2023. 4. 25.
반응형